반응형
임산부는 되도록 약을 먹지 않는 것이 원칙이지만, 세상의 모든 약이 임산부에게 위험한 것은 아니다.
오늘은 임산부가 처방전 없이 구입할 수 있는 약 중에는 태아에게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은 어떤 건지
약물 복용상식은 어떤 건지 알아볼게요!
PART 1. 임신 중 약물 복용 가이드
1. 임신 중 약물 복용이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
임신 중 복용한 약물은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달됩니다
특히 태아는 간과 신장의 기능이 미숙하여 약물이 배출되지 않고 체내에 축적될 위험이 있습니다.
임신 시기에 따른 약물 영향
임신 시기 | 약물 영향 |
0 ~ 2주 (착상전기) |
독성이 강한 약물 복용 시 자연유산 가능성 |
3 ~ 8주 (장기 형성기) |
심장,뇌 팔다리,눈,귀 등 주요 장기 기형 발생 가능성 |
8 ~ 15주 (발달기) |
성기 발달과 구강 구조(구순구개열)에 영향 가능성 |
15주 이후 (안정기) |
태아의 장기가 거의 완성되어 약물 영향이 줄어듦,하지만 뇌 발달 및 장기 기능에 영향 가능성 있음 |
※ 특히 임신 3~8주는 태아의 장기가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로, 약물 복용을 신중히 해야 합니다!
2. 임신 중 복용 가능한 약물 & 피해야 할 약물
★ 안전한 임신을 위해서 꼭 확인하세요 ★
- 임신 중 복용 가능한 약물과 주의사항
- ① 감기, 고열, 두통
- 복용가능 : 아세트아미노펜(타이레놀)
- 주의할 것 : NSAIDs(이부프로펜, 나프록센 등 ) → 임신 30주 이후 절대 금기! ( 20주 이후부터도 주의 필요)
- 양수과소증, 신생아 신장 기능 이상, 태아 동맥관 조기 폐쇄 위험 증가 ▲
- 양수과소증, 신생아 신장 기능 이상, 태아 동맥관 조기 폐쇄 위험 증가 ▲
- ② 우울증 치료제(항우울제)
- 복용 가능 : 플루옥세틴, 서트랄린, 부프로피온, 벤라팍신, 삼환계 항우울제
- 주의할 것 : 파록세틴(Paroxetine) → 심장 기형 및 신생아 폐고혈압 위험증가
- 임신 후기에 항우울제 용량 조절 필요
- 우울증이 심한 경우, 약을 중단하는 것보다 안전한 약물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 ★
- ③ 소화제
- 복용 가능 : 훼스탈, 베아제(소화효소제, 가스제거제)
- 주의할 것: 돔페리돈(Domperidone) → 자궁 평활근 수축 가능성 & 심장 부정맥(QT연장) 위험
- 현호색 포함 약물(가스활명수, 베나치오 등) → 주의 필요
- 산모에게 기형을 유발한 사례는 거의 없으나, 전문가 상담 후 복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.
- 산모에게 기형을 유발한 사례는 거의 없으나, 전문가 상담 후 복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.
- ④ 항생제
- 복용 가능 : 페니실린계, 세파계 항생제
- 주의할 것 :
설파메톡사졸, 트리메소프림 → 태아 신경관 결손 & 신생아 황달 위험
플루코나졸 → 선천적 기형 위험 증강 가능성
테트라사이클린, 독시사이클린 → 태아 치아 착색 & 뼈 성장 지연 (임신 16주 이후 절대 금기!)
- ★ 항생제는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 후 복용 해야 합니다.
- ⑤ 혈압약, 당뇨약, 간질약(향경련제)
- 복용 가능 : 전문의와 상담 후 안전한 약으로 변경 필요
- 주의할 것 :
일부 혈압약 → 양수과소증, 태아 전해질 장애, 신독성 위험
당뇨 조절이 안 되는 경우 → 기형 발생률 20%까지 증가 가능 → 경구 혈당 강하제(메트포르민)는 일부 사용 가능하지만, 인슐린이 1차 선택 - 항경련제(페니토인, 카르바마제핀, 페노바비탈, 발프로산) → 신경관 결손증 위험 증가
- 임신 2~3개월 전부터 엽산제 매일 4~5000 mcg 복용 권장
- 특정 항경련제는 비타민K결핍 유발 할 수 있으므로, 임신 36주부터 비타민K 복용이 권장됨
- 고혈압, 당뇨, 간질이 있는 경우 전문의와 상담 후 적절한 약물로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- ⑥ 변비약
- 복용 가능 : 차전자피(무타실산), 듀파락(락툴로오즈), 마그밀(마그네슘제)
- 주의할 것
- 마그밀 장기 복용 시 전해질 불균형 초래 가능성
- 둘코락스(비사코딜 성분) → 전해질 이상 및 자궁 수축 위험
- 센나, 대황, 목단피 등 생약 성분 변비약 → 자궁수축 위험으로 피하는 것이 좋음
- 변비약을 복용할 경우, 안전한 약물을 선택하고 전문가 상담 후 복용하세요
- ⑦ 파스, 스테로이드 흡입제, 치질 연고
- 복용 가능 :
- 스테로이드 연고(일반 사용량) → 전신 흡수 거의 없음
- 천식 치료용 흡입제 → 비교적 안전
- 치질용 좌약, 항히스타민 크림(로션) → 사용 가능
- 주의할 것 :
- 호르몬 패치, 니코핀 패치, 마약성 진통제 파스, NSAID 좌약 → 전신 흡수되어 태반 통과 가능성 있음
- NSAID포함 파스는 온찜질과 병행하지 않도록 주의!
- 파스나 연고제도 임신 중에는 성분을 꼭 확인하고 사용하세요!
- 복용 가능 :
- ① 감기, 고열, 두통
3. 임신 중 피해야 할 약물
약물 종류 | 위험성 |
NSAIDs(이부프로펜,나프록센 등) | 30주 이후 절대 금기! ( 20주 이후 주의 필요) |
파록세틴(항우울제) | 심장 기형 & 신생아 폐고혈압 위험증가 |
돔페리돈(위장약 성분) | 자궁 수축 & 심장 부정맥 위험 |
설파제 항생제 | 신경관 결손 & 신생아 황달 위험 |
테트라사이클린,독시사이클린(항생제) | 치아착색 & 뼈 성장 저하( 16주 이후 절대 금기!) |
여드름 치료제(이소트레티노인,로아큐탄) | 기형 발생 위험! 절대 금기 |
건강한 임신을 위해 약물 복용은 신중하게 하셔야 합니다!
ⓐ 필요한 경우 안전한 약을 전문가와 상담 후 복용
ⓑ 무조건 약을 피하지 말고 , 신중한 선택이 중요
ⓒ 약물 복용 후 몸의 변화를 주의 깊게 관찰
4. 복용할 약이 안전한지 확인하는 방법
- 한국마더세이프상담센터
- 1588-7309(mothersage.or.kr) → 임신 중 약물 안전성 상담 가능
- 약학정보원 & 대한약사회
- health.kr/kpanet.or.kr → 의약품 정보 검색 가능
PART.2 임산부 독감 예방접종과 복용 가능한 영양제
1. 임산부 독감 예방접종
- 독감 예방접종(불활성화 백신)은 임신 중에도 안전합니다
- 바이러스 백신으로, 병원성균을 약하게 만든 생백신과 다름
- WHO에서도 임신 중 예방접종을 권장합니다
- 임신주수와 관계없이 접종 가능하며, 수유 중에도 맞을 수 있습니다.
2. 임신 중 복용 가능한 영양제
- 임신 중 필요한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면 태아의 건강한 성장과 엄마의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- 엽산 → 태아 신경관 결손 예방 ( 단태아 0.4mg, 다태아 1mg 이상)
- 철분제 → 임신 중기부터 복용 (30mg~60mg 권장)
- 비타민 D → 하루 4000IU 이상 복용 권장
- 유산균 → 장 건강 및 질염 예방 효과
- 오메가-3 → 태아의 신경계 및 면역력 강화
- 영양제 복용 시에도 전문의와 꼭 상담 후 복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.
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^^
공감과 구독하기 눌러주시면 큰 도움이 됩니다 감사합니다.
반응형
'육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이 초등학교 입학 연도, 부모님 나이까지 한눈에 정리 (0) | 2025.02.01 |
---|---|
누구를 닮을까? 우리 아이 예상 키와 유전의 법칙 (0) | 2025.02.01 |
니프티(NIPT)검사vs기형아검사 (0) | 2025.01.29 |
임산부 보건소 혜택 100% 활용 꿀팁 (0) | 2025.01.28 |
2025년 출산지원금 총정리 및 임산부 교통비,육아지원까지 (0) | 2025.01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