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육아

조산 예방하는 방법 : 건강한 출산을 위한 꿀팁

by 산타아부지 2025. 2. 14.
반응형

임신 10개월, 출산이 다가오면서 기대도 커지지만 한편으로는 걱정도 많아지는 시기예요.

"혹시라도 아기가 너무 빨리 나오면 어쩌지?" 하는 불안함, 누구나 한 번쯤 가져보죠.

 

조산(早産)은 임신 20주 0일 ~ 36주 6일 사이에 출산하는 것을 말하는데, 생각보다 많은 임산부가 경험해요.

 

하지만 미리 알고 준비하면 조산을 예방할 수도 있고, 혹시라도 조산이 진행되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대처할 수 있어요.

 

오늘은 조산이 발생하는 이유부터, 조산 신호, 그리고 예방하는 생활습관까지 꼼꼼하게 정리해 볼게요.

 

조산이 일어나는 이유 : 우리 아기는 왜 서둘러 나오려 할까?

조산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해요. 단순한 피로나 스트레스 때문이 아니라, 신체적, 환경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죠. 

 

  • 태아의 문제 
    • 염색체 이상, 심장 기형 등 선천적인 문제가 있을 경우, 임신 초기에 자연 유산이 되기도 하지만 간혹 임신 후반부에 조산으로 이어지기도 해요.
  • 엄마의 건강 상태 
    • 고혈압, 당뇨병, 심장병, 신장병 등의 기존 질환이 있는 경우, 태반 기능이 저하되어 조산 가능성이 높아져요.
    • 임신중독증이 심한 경우에는 태아와 산모의 건강을 위해 출산 예정일 전에 인위적으로 조산을 유도하기도 해요 
  • 태반과 양수 문제 
    • 전치태반, 태반 조기 박리 같은 문제로 조산이 일어날 수 있어요.
    • 양수가 너무 많으면 양막이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터질 가능성이 커지고
    • 양수가 너무 적으면 태아의 신장이나 방광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. 
  • 쌍둥이 또는 거대아 임신
    • 쌍둥이나 거대아를 임신하면 자궁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지고, 양막이 더 빨리 터질 위험이 있어요. 
  • 감염과 면역 문제
    • 독감 바이러스나 특정 기생충 감염이 있으면 자궁 수축되거나 양막이 파열될 가능성이 커요.
  • 스트레스 & 피로
    •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, 장시간 서 있거나,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조산 위험이 커질 수 있어요. 

 

조산 신호 : 이런 증상이 있으면 망설이지 말고! 병원으로! 🚨

아기가 너무 빨리 나오려고 할 때, 우리 몸은 신호를 보내요. 조산을 막으려면 이 신호들을 절대 놓치지 않아야 해요.

 

  • 배뭉침과 복통이 반복된다
    • 배가 단단해졌다가 풀리는 느낌이 계속되거나, 규칙적인 통증이 반복되면 조산이 시작될 수 있어요
  • 출혈이 있다
    • 임신 후반기의 출혈은 위험 신호! 조금이라도 피가 보이면 무조건 병으로 가야 해요.
  • 양수가 터졌다
    • 따듯한 물이 갑자기 속옷을 적시거나 다리를 타고 흐르면 양수가 터진 것을 수 있어요.
    • 이때는 허리를 높여 눕고, 배를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병원으로 이동해야 해요.
  • 생리통 같은 통증이 지속된다
    •  자궁구가 열리는 느낌이 들거나, 평소와는 다른 배 팽창감이 느껴지면 병원에 가야 해요.
  • 태동이 줄거나 느껴지지 않는다
    • 갑자기 태동이 줄거나, 24시간 동안 태동이 없다면 응급 상황이에요!

 

조산을 예방하는 생활습관 

출산 예정일까지 아기가 배 속에서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습관들,

미리 실천하면 훨씬 안정적인  임신 후기를 보낼 수 있어요 

 

  • 몸을 따듯하게 유지하기 🌡️
    • 에어컨 바람이 직접 닿지 않도록 하고, 실내에서도 긴소매 옷을 입어 체온을 유지해요.
    • 부엌에서는 싱크대 밑에 매트를 깔고 슬리퍼를 신으면 발이 차가워지는 걸 막을 수 있어요.
  • 성관계 조심하기
    • 정액 속 프로스타글란딘 성분이 자궁 수축을 유발할 수 있어요 
    • 조산 위험이 있는 경우, 임신 후기에는 성관계를 삼가는 것이 좋아요.
  • 체중 조절하기
    • 임신 후반기에 체중이 갑자기 늘면 임신중독증이나 조산 위험이 커져요
    • 체중을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해요 
  • 변비, 설사 피하기
    • 변비로 힘을 주거나, 설사가 심하면 자궁이 함께 수축될 수 있어요
  • 8개월 이후 복대 사용 금지
    • 복대나 꽉 끼는 속옷은 혈액순환을 방해해요. 자궁이 수축될 수도 있어서 임신 후기는 복대 없이 편하게 있는 게 좋아요.
  • 종합병원에서 진료받기
    • 조산 경험이 있거나, 고위험군이라면 조산아 치료가 가능한 종합병원에서 진료받는 것이 안전해요. 

 

조산 후, 아기는 어떻게 될까? 👶

조산으로 태어난 아기들은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인큐베이터 치료를 받아요.

  • 임신 22주 이전 조산 → 생존 확률이 25% 미만 
  • 임신 22~26주 조산 → 생존 확률 25% 
  • 임신 27주 ~ 29주 조산 → 생존 확률 70% 
  • 임신 32~34주 조산 → 대부분 건강하게 회복돼요.

조산아 의료비 지원은?

  • 출생 시 체중 2.5kg 미만 → 최대 300만 원 지원 
  • 출생 시 체중 1.5~2kg 미만 → 최대 400만 원 지원 
  • 출생 시 체중 1kg 미만 → 최대 1,000만 원 지원 
  • 퇴원 후 6개월 이내에 보건소에 신청 가능 

조산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?

충분한 휴식과 안정적인 생활 : ) 

영양 균형이 맞는 식사 🥗

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가벼운 운동 🚶‍♀️

정기적인 병원검진 

 

아기는 엄마 배속에서 충분히 자랄 때 더 건강하게 태어날 수 있어요. 조산 신호가 보이면 망설이지 말고 병원으로 가고,

생활 습관을 잘 관리하면서 안전한 출산을 준비하세요 

 

 

 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