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임신 10개월, 출산이 다가오면서 기대도 커지지만 한편으로는 걱정도 많아지는 시기예요.
"혹시라도 아기가 너무 빨리 나오면 어쩌지?" 하는 불안함, 누구나 한 번쯤 가져보죠.
조산(早産)은 임신 20주 0일 ~ 36주 6일 사이에 출산하는 것을 말하는데, 생각보다 많은 임산부가 경험해요.
하지만 미리 알고 준비하면 조산을 예방할 수도 있고, 혹시라도 조산이 진행되더라도 당황하지 않고 대처할 수 있어요.
오늘은 조산이 발생하는 이유부터, 조산 신호, 그리고 예방하는 생활습관까지 꼼꼼하게 정리해 볼게요.
조산이 일어나는 이유 : 우리 아기는 왜 서둘러 나오려 할까?
조산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해요. 단순한 피로나 스트레스 때문이 아니라, 신체적, 환경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죠.
- 태아의 문제
- 염색체 이상, 심장 기형 등 선천적인 문제가 있을 경우, 임신 초기에 자연 유산이 되기도 하지만 간혹 임신 후반부에 조산으로 이어지기도 해요.
- 엄마의 건강 상태
- 고혈압, 당뇨병, 심장병, 신장병 등의 기존 질환이 있는 경우, 태반 기능이 저하되어 조산 가능성이 높아져요.
- 임신중독증이 심한 경우에는 태아와 산모의 건강을 위해 출산 예정일 전에 인위적으로 조산을 유도하기도 해요
- 태반과 양수 문제
- 전치태반, 태반 조기 박리 같은 문제로 조산이 일어날 수 있어요.
- 양수가 너무 많으면 양막이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터질 가능성이 커지고
- 양수가 너무 적으면 태아의 신장이나 방광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.
- 쌍둥이 또는 거대아 임신
- 쌍둥이나 거대아를 임신하면 자궁에 가해지는 압력이 커지고, 양막이 더 빨리 터질 위험이 있어요.
- 감염과 면역 문제
- 독감 바이러스나 특정 기생충 감염이 있으면 자궁 수축되거나 양막이 파열될 가능성이 커요.
- 스트레스 & 피로
- 무거운 물건을 들거나, 장시간 서 있거나, 지속적인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조산 위험이 커질 수 있어요.
조산 신호 : 이런 증상이 있으면 망설이지 말고! 병원으로! 🚨
아기가 너무 빨리 나오려고 할 때, 우리 몸은 신호를 보내요. 조산을 막으려면 이 신호들을 절대 놓치지 않아야 해요.
- 배뭉침과 복통이 반복된다
- 배가 단단해졌다가 풀리는 느낌이 계속되거나, 규칙적인 통증이 반복되면 조산이 시작될 수 있어요
- 출혈이 있다
- 임신 후반기의 출혈은 위험 신호! 조금이라도 피가 보이면 무조건 병으로 가야 해요.
- 양수가 터졌다
- 따듯한 물이 갑자기 속옷을 적시거나 다리를 타고 흐르면 양수가 터진 것을 수 있어요.
- 이때는 허리를 높여 눕고, 배를 움직이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병원으로 이동해야 해요.
- 생리통 같은 통증이 지속된다
- 자궁구가 열리는 느낌이 들거나, 평소와는 다른 배 팽창감이 느껴지면 병원에 가야 해요.
- 태동이 줄거나 느껴지지 않는다
- 갑자기 태동이 줄거나, 24시간 동안 태동이 없다면 응급 상황이에요!
조산을 예방하는 생활습관
출산 예정일까지 아기가 배 속에서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습관들,
미리 실천하면 훨씬 안정적인 임신 후기를 보낼 수 있어요
- 몸을 따듯하게 유지하기 🌡️
- 에어컨 바람이 직접 닿지 않도록 하고, 실내에서도 긴소매 옷을 입어 체온을 유지해요.
- 부엌에서는 싱크대 밑에 매트를 깔고 슬리퍼를 신으면 발이 차가워지는 걸 막을 수 있어요.
- 성관계 조심하기
- 정액 속 프로스타글란딘 성분이 자궁 수축을 유발할 수 있어요
- 조산 위험이 있는 경우, 임신 후기에는 성관계를 삼가는 것이 좋아요.
- 체중 조절하기
- 임신 후반기에 체중이 갑자기 늘면 임신중독증이나 조산 위험이 커져요
- 체중을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해요
- 변비, 설사 피하기
- 변비로 힘을 주거나, 설사가 심하면 자궁이 함께 수축될 수 있어요
- 8개월 이후 복대 사용 금지
- 복대나 꽉 끼는 속옷은 혈액순환을 방해해요. 자궁이 수축될 수도 있어서 임신 후기는 복대 없이 편하게 있는 게 좋아요.
- 종합병원에서 진료받기
- 조산 경험이 있거나, 고위험군이라면 조산아 치료가 가능한 종합병원에서 진료받는 것이 안전해요.
조산 후, 아기는 어떻게 될까? 👶
조산으로 태어난 아기들은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인큐베이터 치료를 받아요.
- 임신 22주 이전 조산 → 생존 확률이 25% 미만
- 임신 22~26주 조산 → 생존 확률 25%
- 임신 27주 ~ 29주 조산 → 생존 확률 70%
- 임신 32~34주 조산 → 대부분 건강하게 회복돼요.
조산아 의료비 지원은?
- 출생 시 체중 2.5kg 미만 → 최대 300만 원 지원
- 출생 시 체중 1.5~2kg 미만 → 최대 400만 원 지원
- 출생 시 체중 1kg 미만 → 최대 1,000만 원 지원
- 퇴원 후 6개월 이내에 보건소에 신청 가능
조산을 예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?
충분한 휴식과 안정적인 생활 : )
영양 균형이 맞는 식사 🥗
무리하지 않는 선에서 가벼운 운동 🚶♀️
정기적인 병원검진
아기는 엄마 배속에서 충분히 자랄 때 더 건강하게 태어날 수 있어요. 조산 신호가 보이면 망설이지 말고 병원으로 가고,
생활 습관을 잘 관리하면서 안전한 출산을 준비하세요
반응형
'육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태교 방법 추천! 행복한 아기를 위한 최고의 태교법 (0) | 2025.02.15 |
---|---|
임신 개월 별 식단 임산부 추천 식단 및 영양 가이드 (0) | 2025.02.14 |
순산을 위한 최고의 준비법 출산 전 필수 습관 & 운동 (0) | 2025.02.13 |
육아용품,뭐부터 사야할까? 후회 없는 알뜰 구매 가이드 (0) | 2025.02.12 |
임신 막달,꼭 알아야 할 증상과 대처법 (0) | 2025.02.12 |